아틀라스는 티탄들 중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존재로, 지구를 어깨에 메고 있는 동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아틀라스의 이름은 대서양, 아틀라스 산맥, 첫 번째 목 뼈 등 현재까지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아틀라스의 이름과 상징,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알아보자.
1. 이름
아틀라스
: '짊어진 자'라는 의미이다.
*영어로 atlas는 '지도책', '대들보', '첫 번째 경추'를 뜻한다.
2. 상징
지구본
3. 가족
아버지는 티탄족 이아페토스, 어머니는 클리메네이다.
배우자는 플레이오네, 아이트라 등이다.
자녀는 히아데스, 히아스, 플레이아데스, 헤스페리데스 등이다.
형제들은 프로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 메노이티오스이다.
4. 아틀라스와 관련된 이야기
4-1. 하늘을 떠받치게 된 아틀라스
티타노마키아에서 아틀라스는 티탄의 편에서 싸웠는데, 제우스를 비롯한 올림포스 신들이 티탄을 제압하며 승리한다. 패배한 아틀라스는 평생 세상의 서쪽 끝, 지금의 지브롤터 해협 근처에서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형벌을 받는다. 이후 아틀라스는 힘과 인내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4-2. 헤르페리데스 자매와 황금사과
하늘을 떠받치는 아틀라스의 근처에는 헤스페리데스 자매가 돌보는 정원이 있다. 헤스페리데스 자매는 황금빛의 요정으로 석양을 떠올리게 하여 '저녁의 딸' 또는 '서쪽의 님프'로 불리는데 이들의 출생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며, 아틀라스의 딸들로 보기도 한다. 헤스페리데스 정원에는 헤라가 제우스와 결혼할 때 가이아로부터 결혼 선물로 받은 황금사과나무를 심어놓았는데, 이를 헤스페리데스 자매와 괴물 용인 라돈이 지키고 있었다.
4-3. 헤라클레스를 속이려다 당하고 만 아틀라스
헤라클레스의 열두 가지 과업 중 열한 번째 과업이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에서 황금사과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이곳의 위치는 바다의 신 네레우스 외에는 아무도 몰랐는데 헤라클레스는 변신의 귀재인 네레우스를 끈질기게 따라가 붙잡았고 그곳으로 가는 길을 알아낸다. 또한 그는 카우카소스 산에 결박된 채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고 있는 프로메테우스를 구해주었고, 프로메테우스는 헤라클레스에게 감사해하며 황금사과를 얻는 방법을 알려준다. 황금사과는 거대한 괴물 용 라돈과 헤스페리데스 자매들이 지키고 있어 아틀라스 외에는 황금사과를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이었다. 헤스페리데스 정원 근처에 도착한 헤라클레스는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아틀라스를 만나 자신이 하늘을 대신 지고 있을 테니 황금사과를 가져다 달라고 부탁하였고 아틀라스는 손쉽게 황금사과를 가져온다. 문제는 가벼워진 어깨에 개운함을 느낀 아틀라스가 더 이상 하늘을 어깨에 메고 싶지 않아서 헤라클레스를 붙잡아두려 한 것이다. 헤라클레스는 순간적인 기지로 아틀라스의 제안에 동조하는 척하며 어깨 받침을 제대로 놓아야 하니 잠시만 들고 있어 달라고 한다. 아틀라스가 다시 하늘을 어깨에 올린 순간 헤라클레스는 멀리 달아난다.
4-4. 아틀라스 산맥
오래전 테미스 여신은 제우스의 아들 중 하나가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에서 황금사과를 훔쳐갈 것이라는 경고를 했었다. 아틀라스는 메두사를 무찌르고 지쳐서 돌아오던 페르세우스가 자신에게 하룻밤 묵기를 간청했지만 그가 제우스의 아들임을 알고 단호히 거절한다. 페르세우스를 테미스가 경고했던 '그'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화가 난 페르세우스는 메두사의 머리를 꺼내 아틀라스를 돌이 되게 했고 거대했던 그의 몸은 아틀라스 산맥이 되고 만다. 아틀라스의 생각과 달리, 테미스가 예언했던 황금사과를 훔쳐간 제우스의 아들은 헤라클레스였다.
4-5. 토성의 위성인 아틀라스
[그리스로마신화] - 태양계 행성 이름의 유래
우주와 관련된 이름은 그리스신화에서 유래된 이름이 많다. 우주를 관찰하며 발견한 특징을 그리스신화에 빗대어 표현하였는데 현대에 이르러 망원경과 우주탐사선의 발명 후에도 계속해서 신
learnmyson.tistory.com
4-6. 아틀라스 증후군
아틀라스 증후군이란, 완벽한 아버지와 남편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중압감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말한다. 가장이 짊어진 삶의 무게로 인해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참아내고 감정을 숨기며 살다 보니 책임감만 남아 스스로를 돌보지 못하는 것이다.
반대로 업무, 집안일, 육아 등 모든 일에 소홀하지 않으려는 여성들이 겪는 신체적, 정신적인 어려움의 증상을 '슈퍼우먼 증후군'이라 한다.
5. 아틀라스를 다룬 예술 작품
아틀라스 동상
지금까지 아틀라스의 이름, 상징, 가족 및 그와 관련된 이야기에 관해 알아보았다. 아틀라스는 고난과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힘들게 짊어진 부담을 견디어내는 모습으로, 불평하지 않고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인내의 상징이 되었다. 다음에도 재미있는 그리스신화의 이야기를 알아보자.